Spring Boot
Last updated
Was this helpful?
Last updated
Was this helpful?
스프링 부트는 필요한 환경 설정을 최소화하고 개발자가 비즈니스 로직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줘 생산생을 향상시켰다.
임베디드 톰캣, 제티, 언더토우를 사용해 독립 실행이 가능한 스프링 애플리케이션 개발
통합 스타터를 제공하여 maven/gradle 구성 간소화
스타터를 통한 자동화된 스프링 설정 제공
번거로운 XML 설정 요구하지 않음
JAR을 사용해 자바 옵션만으로도 배포 가능
애플리케이션의 모니터링과 관리를 위한 Spring Actuator 제공
를 참고해 스타터 내부의 의존성을 확인할 수 있다.
spring-boot-starter-web
spring-boot-starter-tomcat: 톰캣(웹서버)
spring-webmvc: 스프링 웹 MVC
spring-boot-starter-thymeleaf: 타임리프 템플릿 엔진(View)
spring-boot-starter: 스프링 부트 + 스프링 코어 + 로깅
spring-boot
spring-core
spring-boot-starter-logging
logback, slf4j
spring-boot-starter-test: 스프링부트 테스트
각각의 의존성 버전을 올리는 것이 조금 더 수월하다.
특정 라이브러리에 버그가 있더라도 스프링팀의 버그 픽스한 버전을 받기 편리하다.
간단한 어노테이션 설정이나 프로퍼티 설정으로 세부적인 설정 없이 원하는 기능을 빠르게 적용할 수 있다.
별도의 외장 톰캣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설정을 개인화하면 버전을 올릴 때 기존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불편함을 겪을 수 있다.
특정 설정을 개인화 혹은 설정 자체를 변경하고 싶다면, 내부의 설정 코드를 살펴봐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스프링 부트 자동 환경설정은 Web, H2, JDBC를 비롯해 약 100여 개의 자동 설정을 제공한다. 그리고 새로 추가되는 라이브러리는 스프링 부트 자동-설정 의존성에 따라 설정이 자동 적용된다. 자동 설정은 @EnableAutoConfiguration
(@Configuration
과 반드시 같이 사용) 또는 @SpringBootApplication
중 하나를 사용하면 된다.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는 의존성을 일일이 빈으로 설정했으나, 스프링 부트는 관련 의존성을 스타터라는 묶음으로 제공해 수동 설정을 지양한다.
@SpringBootConfiguration
: 스프링 부트의 설정을 나타내는 어노테이션
Spring의 @Configuration
대체
스프링부트 전용
@EnableAutoConfiguration
: 자동 설정의 핵심 어노테이션
클래스 경로에 지정된 내용을 기반으로 자동 설정
특별한 설정값을 추가하지 않으면 default값 설정
@ComponentScan
: 특정 패키지 경로를 기반으로 @configuration
에서 사용할 @Component
설정 클래스를 찾는다.
basePackages 프로퍼티 값에 별도로 값을 설정하지 않으면, @ComponentScan
이 위치한 패키지가 루트 경로로 설정
여기서 자동 설정을 지원해주는 어노테이션은 @Import({AutoConfigurationImportSelector.class})
이다.
AutoConfigurationImportSelector
내부의 selectImports()
에는 자동 설정 방식에 대해 조금 더 상세히 살펴볼 수 있다.
getAutoConfigurationEntry()
메서드를 보면 removeDuplicates()
종복된 설정과 getExclusions()
으로 제외할 설정을 제외시켜주고 있다. 그리고 나서 이중에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빈만 임포트할 자동 대상으로 선택하고 있다.
META-INF/spring.factories
: 자동 설정 타깃 클래스 목록. 이곳에 선언되어 있는 클래스들이 @EnableAutoConfiguration
의 타겟
META-INF/spring-configuration-metadata.json
: 자동 설정에 사용할 프로퍼티 정의 파일.
미리 구현되어 있는 자동 설정에 프로퍼티만 주입 시키면 된다.(별도 환경설정 불필요)
org/springframework/boot/autoconfigure
: 미리 구현해놓은 자동 설정 리스트
{특정설정이름}AutoConfiguration
형식으로 이름이 지정되어 있음
위 파일은 모두 spring-boot-autoconfiguration
에 미리 정의되어 있고, 지정된 프로퍼티 값을 사용해 설정 클래스 내부 값을 바꿀 수 있다.
@ConditionalOnBean
해당하는 빈 클래스나 이름이 미리 빈 팩토리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ConditionalOnClass
해당하는 클래스가 클래스 경로에 있는 경우
@ConditionalOnCloudPlatform
해당하는 클라우드 플랫폼이 활용 상태인 경우
@ConditionalOnExpression
SpEL에 의존하는 조건인 경우
@ConditionalOnJava
JVM 버전이 일치하는 경우
@ConditionalOnJndi
JNDI가 사용가능하고 특정 위치에 있는 경우
@ConditionalOnMissingBean
해당하는 빈 클래스나 이름이 미리 빈 팩토리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ConditionalOnMissingClass
해당하는 클래스가 클래스 경로에 없을 경우
@ConditionalOnNotWebApplication
웹 어플리케이션이 아닌경우
@ConditionalOnProperty
특정한 피로퍼티가 지정한 값을 갖는 경우
@ConditionalOnResource
특정 리소스가 클래스 경로에 있는 경우
@ConditionalOnSingleCandidate
지정한 빈 클래스가 이미 빈 팩토리에 포함되어 있고 단일 후보자로 지정 가능한 경우
@ConditionalOnWebApplication
웹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AutoConfigureAfter
지정한 특정 자동 설정 클래스들이 적용된 이후에 해당 자동 설정 적용
@AutoConfigureBefore
지정한 특정 자동 설정 클래스들이 적용된 이전에 해당 자동 설정 적용
@AutoConfigureOrder
자동 설정 순서 지정을 위한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Order
어노테이션 변형으로 기존 설정 클래스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자동 설정 클래스들 간의 순서만 지정한다.
에서 프로퍼티 값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