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java
java
  • README
  • Java
    • Basic
      • 변수와 타입
      • 연산자
      • 조건문과 반복문
      • 참조 타입
      • 클래스
      • 상속(Inheritance)
      • 인터페이스(Interface)
      • 중첩 클래스와 중첩 인터페이스
      • 예외 처리
      • API - Object, System, Class, Math, Wrapper
      • API - String, StringBuffer, StringBuilder
      • Thread
      • Generic
      • Lambda
      • Collection - List, Set
      • Collection - Map
      • Collection - Tree
      • Collection - Stack, Queue
      • Stream
      • Reflection
      • 정규표현식
      • GUI
      • UML
      • Serializable
    • Advanced
      • OutOfMemoryError
      • AutoValue
      • meta-annotation
        • @Retention
        • @Target
        • @Repeatable
    • Effective Java 3/E
      • ITEM 1: Static Factory Method(정적 메소드)
      • ITEM 2: Builder Pattern
      • ITEM 3: Singleton
      • ITEM 4: Private Constructor
      • ITEM 5: Dependency Injection
      • ITEM 6: Avoid Unnecessary Object
      • ITEM 7: Eliminate Object Reference
      • ITEM 8: Avoid finalizer and cleaner
      • ITEM 9: try-with-resources
      • ITEM 10: The gerneral contract when overriding equlas
      • ITEM 11: Overriding hashCode
      • ITEM 12: overriding toString
      • ITEM 13: overriding clone judiciously
      • ITEM 14: Consider implementing comparable
      • ITEM 15: 클래스와 멤버의 접근을 최소화해라
      • ITEM 16: Use Accessor methods
      • ITEM 17: 변경 가능성을 최소화해라(불변 클래스)
      • ITEM 18: 상속보단 컴포지션을 사용해라
      • ITEM 19: 상속을 고려해 설계하고 문서화해라
      • ITEM 20: 추상 클래스보다 인터페이스를 우선하라
      • ITEM 21: 인터페이스는 구현하는 쪽을 생각해 설계해라.
      • ITEM 22: 인터페이스는 타입을 정의하는 용도로만 사용해라
      • ITEM 23: 태그 달린 클래스보다 클래스 계층구조를 활용해라
      • ITEM 24: 멤버 클래스는 되도록 static으로 구현해라
      • ITEM 25: 톱레벨 클래스는 한 파일에 하나만 생성해라.
      • ITEM 26: Raw type은 사용하지 마라
      • ITEM 27: 비검사 경고를 제거해라
      • ITEM 28: 배열보다는 리스트를 사용해라
      • ITEM 29: 이왕이면 제네릭 타입으로 만들어라
      • ITEM 30: 이왕이면 제네릭 메서드로 만들어라
      • ITEM 31 : 한정적 와일드카드를 사용해 API 유연성을 높여라
      • ITEM 32: 제네릭과 가변인수를 함께 쓸 때는 신중해라
      • ITEM 33: 타입 안전 이종 컨테이너를 고려해라
      • ITEM 34: int 상수 대신 열거 타입을 사용해라
      • ITEM 35: ordinal 메서드 대신 인스턴스 필드를 사용해라
      • ITEM 36: 비트 필드 대신 EnumSet을 사용해라
      • ITEM 37: ordinal 인덱싱 대신 EnumMap을 사용해라
      • TEM 38 : 확장할 수 있는 열거타입이 필요하면 인터페이스를 사용해라
      • ITEM 39: 명명 패턴보다 애너테이션을 사용해라
      • ITEM 40: @Override 어노테이션을 일관되게 사용해라
      • ITEM 41: 정의하려는 것이 타입이라면 마커 인터페이스를 사용해라
      • ITEM 42: 익명 클래스보다는 람다를 사용해라
      • ITEM 43: 람다보다는 메서드 참조를 사용해라
      • ITEM 44: 표준 함수형 인터페이스를 사용해라
      • ITEM 45: 스트림은 주의해서 사용해라
      • ITEM 46: 스트림에서 부작용 없는 함수를 사용해라
      • ITEM 47: 반환 타입으로는 스트림보다 컬렉션이 낫다.
      • ITEM 48: 스트림 병렬화는 주의해서 사용해라
      • ITEM 49: 매개변수가 유효한지 검사해라
      • ITEM 50: 적시에 방어적 복사본을 만들어라
      • ITEM 51: 메서드 시그니처를 신중히 설계해라
      • ITEM 52: 다중정의는 신중히 사용해라
      • ITEM 53: 가변인수는 신중히 사용해라
      • ITEM 54: null이 아닌, 빈 컬렉션이나 배열을 반환해라
      • ITEM 55: Optional 반환은 신중하게 해라
      • ITEM 56: 공개된 API 요소에는 항상 주석을 작성해라
      • ITEM 57: 지역변수의 범위를 최소화해라
      • ITEM 58: 전통적인 for 문보다는 for-each문을 사용해라
      • ITEM 59: 라이브러리를 익히고 사용해라
      • ITEM 60: 정확한 답이 필요하다면 float와 double은 피해라
      • ITEM 61: 박싱된 기본 타입보다는 기본 타입을 사용해라
      • ITEM 62: 다른 타입이 적절하다면 문자열 사용을 피해라
      • ITEM 63: 문자열 연결은 느리니 주의해라
      • ITEM 64: 객체는 인터페이스를 사용해 참조해라
      • ITEM 65: 리플렉션보다는 인터페이스를 사용해라
      • ITEM 66: 네이티브 메서드는 신중히 사용해라
      • ITEM 67: 최적화는 신중히 해라
      • ITEM 68: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명명 규칙을 따라라
    • 객체지향 설계 원칙(SOLID)
    • 디자인패턴
      • Strategy Pattern
      • Template Method Pattern
      • Factory Method Pattern
      • Singleton
      • Delegation
      • Proxy
      • Adapter Pattern
    • 실습
      • 인터페이스 실습 - Vehicle
      • 인터페이스 실습 - Remote
      • GUI 실습 - Calculator
      • GUI 실습 - button
      • GUI 실습 - lotto
      • Thread 실습 - 좌석예약, 메세지보내기
    • Jar vs War
Powered by GitBook
On this page

Was this helpful?

  1. Java
  2. 실습

인터페이스 실습 - Vehicle

Previous실습Next인터페이스 실습 - Remote

Last updated 5 years ago

Was this helpful?

UML

  • Vehicle : "탈 수 있는" 인터페이스 정의

    • run()

public interface Vehicle {

    public void run();

}

객체의 사용방법을 정의한 타입인 인터페이스 사용했다. 인터페이스는 사용 방법이 동일한 클래스를 만드는 기술이다.

인터페이스는 상수, 메소드만을 멤버로 가질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객체를 생성할 수 없기 때문에 생성자를 가질 수 없다.

여기서public void run() 메소드는 추상 메소드로 리턴타입과 어떠한 매개값이 필요한지만 알려준다. 인터페이스에서 선언한 모든 메소드는 public abstract특성을 갖는다.

  • Bus와 Subway는 Vehicle을 Realization(인터페이스와 구현의 관계)하고 있다.

public class Subway implements Vehicle {
    @Override
    public void run() {
        System.out.println("==> Subway가 달립니다.");
    }
}
public class Bus implements Vehicle {
    @Override
    public void run() {
        System.out.println("====> Bus가 달립니다.");

    }
}

인터페이스는 어떤 구현 객체를 대입하느냐에 따라 실행 결과가 달라진다.

  • Taxi는 owner: String의 필드를 두어 공용택시인 경우와 개인택시(소유주만 운전할 수 있는)를 구분하였다.

public class Taxi implements Vehicle {
    String owner;

    public Taxi() {
        this.owner = "public";
    }

    public Taxi(String license_num){
        this.owner = license_num;
    }

    @Override
    public void run() {
        System.out.println("====> Taxi [ " + this.owner+"] 가 달립니다.");
    }

}

생성자에서 공용택시인지, 개인택시인지 구분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 Driver

    • 생성자에서 license_num이 없으면 생성이 불가능 하도록 만들었다.

    • dirve메소드는 drive(Vehicle car)와 drive(Taxi taxi)를 오버로딩하였다.

      • 오버로딩(Overloading) : 같은 이름의 메소드를 여러개 가지면서 매개변수의 유형과 개수가 다르도록 하는 기술

      • 오버라이딩(Overriding) : 상위 클래스가 가지고 있는 메소드를 하위 클래스가 재정의 해서 사용한다.

      • 구분

        오버로딩

        오버라이딩

        메소드이름

        동일

        동일

        매개변수 타입

        다름

        동일

        리턴 타입

        상관없음

        동일

public class Driver {
    private String license_num;

    public Driver(String license_num) {
            this.license_num = license_num;
    }

    public String getLicense_num() {
            return this.license_num;
    }

    public void drive(Vehicle car){
            System.out.println("운전사["+this.license_num+"] : "+car.getClass().getSimpleName());
            car.run();
    }

    public void drive(Taxi taxi) {
            System.out.println("운전사["+this.license_num+"] : Taxi를 운전합니다. ");
            if(taxi.owner == "public"|| this.license_num==taxi.owner)taxi.run();
            else System.out.println("=====> 이 택시는 허가된 사람만 운전할 수 있습니다.");
    }

}
  • Main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
        Bus b =new Bus();
        Taxi t = new Taxi();
        Subway s = new Subway();
        Taxi tt = new Taxi("2015-0001");

        Driver d = new Driver("2015-0001");
        Driver dd = new Driver("2015-0003");


        d.drive(b);
        d.drive(s);
        d.drive(t);        
        d.drive(tt);
        dd.drive(tt);
    }

}
운전사[2015-0001] : Bus
====> Bus가 달립니다.
운전사[2015-0001] : Subway
==> Subway가 달립니다.
운전사[2015-0001] : Taxi를 운전합니다. 
====> Taxi [ public] 가 달립니다.
운전사[2015-0001] : Taxi를 운전합니다. 
====> Taxi [ 2015-0001] 가 달립니다.
운전사[2015-0003] : Taxi를 운전합니다. 
=====> 이 택시는 허가된 사람만 운전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