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EM 35: ordinal 메서드 대신 인스턴스 필드를 사용해라

대부분의 열거 타입 상수는 하나의 정숫값에 대응된다. 그리고 모든 열거 타입은 해당 상수가 그 열거 타입에서 몇 번째 위치인지를 반환하는 ordinal 메서드를 제공한다.

public enum Esemble {
    SOLO, DUET, TRIO, QUARTET, QUINTET, SEXTET, SEPTET, OCTET, NONET, DECTET;

    // ordinal을 잘못 사용한 경우
    public int numberOfMusicians() {
        return ordinal() + 1;
    }
}

위 코드는 ordinal()를 잘못 사용한 경우이다. 상수 선언 순서를 바꾸는 순간 numberOfMusicians는 오동작하며, 이미 사용중인 정수와 값이 같은 상수는 추가할 방법이 없다. 예를 들어 8중주(OCTET) 상수가 이미 있으므로, 똑같이 8명이서 연주하는 복4중주는 추가할 수 없다. 또한, 값을 중간에 비워둘 수도 없다. 예를들어 12명이 연주하는 3중 4중주를 추가하고 싶으면, 중간에 11명짜리 상수도 더미값으로 같이 추가해야만 한다. 코드가 깔끔하지 않을 뿐더러, 실용성이 떨어진다.

열거 타입 상수에 연결된 값은 ordinal 메서드로 얻지말고 인스턴스 필드에 저장하여, 해결할 수 있다.

public enum Esemble {
    SOLO(1), DUET(2), TRIO(3), QUARTET(4), QUINTET(5), SEXTET(6), SEPTET(7), OCTET(8), DOUBLE_QUARTET(8), NONET(9), DECTET(10), TRIPLE_QUARTET(12);

    private final int numberOfMusicians;

    Esemble(int size) {
        this.numberOfMusicians = size;
    }

    public int numberOfMusicians() {
        return numberOfMusicians;
    }
}

Enum API문서를 보면

"대부분 프로그래머는 이 메서드를 사용할 일이 없다. 이 메서드는 EnumSetEnumMap 같이 열거 타입기반의 범용 자료구조에 쓸 목적으로 설계되었다." 라고 쓰여 있다.

즉, 이러한 용도가 아니라면, ordinal 메서드는 절대로 사용하지 말아야한다.

Last updated